↑ Go Back

Discrete bodies reunite


2022

live satellite performance, two- channel video installation, 21 min 11 sec, dimensions variable

Concept & Direction: Youngjoo Cho
Choreographer & Co-director: Eunjoung Im
Performer: Giyoung Kim, Ji Hye Myeong, Sohee Park, Ji Hyeon Park, Youngsun Song
Director of photography: Sun Young Lee
Camera: Sun Young Lee, Jung June Lee
Editor: Sun Young Lee, Dongkuk Kim
Music: Vad Hahn
Project manager: Sung Yun Park
Technical Realization: apparat/us
Producer: Jinyoung Shin
Coordinator: Sumin Han
Sound Director: Taesoon Jang
Lighting Director: Haein Jeong
Video Director: Yongwoo Mo
Light: Seokjin Park, Yeonjong Jeong, Yeongu Jeong
Video: Young Ju An
Supported by Seoul Foundation Arts and Culture


In Discrete body reunion, Youngjoo Cho brings together social disasters experienced i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layering her work with depictions by the media of the reunions of separated North and South Korean family members,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collapse, and efforts to locate the family members of adoptees. The live performance adopts a dual feed format, which draws inspiration from the live broadcast of reunions of separated family members in the early 1980s. As the performance intensifies, viewers consider the meanings that images of women’s bodies take on in tragic situations where the body can enter a kind of trance state. In news programs and documentaries, we have often seen these images: the vacant stare, the slumping as a person’s legs give way, the sobbing embrace of the person in front of her, and the clutching of the chest and burying of the face. Youngjoo Cho refers to the psychological use of continuous stimuli to the five sessions as a way of inducing a physical trance, with choreography that applies methods for inducing an involuntary trance without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The artist posits that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women’s bodies seen in the news clips could be induced in her performers through the use of specific physical stimuli. As this process actually unfolds, the performers’ personal emotional states transform into physical states, which are mediated in turn by a camera that permits the evocation of various emotions in the viewer. Discrete body reunion includes two live performances taking place in two different locations, where the performance and audience response in one is shared as a live video image in the other. Some of the performers also move between the two locations during the performance. Cho makes use of live video systems, chroma key, and motion capture technology to allow the images of the performers’ bodies in one location to overlap with and separate from those in the other through the videos visible in each setting.

← Show Related Images

Show Video


이산 신체 재회

2022

이원생중계 라이브 퍼포먼스, 2채널 영상 설치, 21분 11초, 가변설치

기획 & 연출: 조영주
안무 & 공동연출: 임은정
퍼포머: 김기영, 명지혜, 박소희, 박지현, 송영선
촬영감독: 이선영
카메라: 이선영, 이정준
영상편집: 이선영, 김동국
음악: 한받
프로젝트 매니저: 박성연
기술구현: 아파랏/어스
프로듀서: 신진영
코디네이터: 한수민
음향감독: 장태순
조명감독: 정해인
영상감독: 모용우
조명팀: 박석진, 정연종, 정영우
영상팀: 안영주
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이산 신체 재회>는 조영주가 한국근현대사에서 경험했던 사회적 재난들을 종합하여 이산가족 상봉, 삼풍백화점 붕괴, 입양아 가족 찾기 등에서 보아왔던 매체의 시선을 작업의 레이어로 설정한 작업이다. 라이브 퍼포먼스는 이원생중계의 형식을 차용하고 있는데, 과거 1980년대 초 방송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생중계하였던 방식에서 영향을 받았다. 퍼포먼스가 고조되면서 일종의 트랜스 상태로 신체가 전이될 수 있는 비극적인 상황에서 여성의 신체 이미지가 갖는 의미를 상상하게 한다. 초점이 없이 멍한 시선과 다리에 힘이 풀려 털썩 주저앉는 모습이나 앞에 있는 상대를 끌어안고 오열하는 모습, 가슴을 쥐어뜯으며 얼굴을 파묻는 모습들을 우리는 뉴스 프로그램이나 다큐 영상 속에서 자주 목격했다. 조영주는 심리학에서 신체의 트랜스 상황을 이끌어내는 방법 중 오감을 통해 자극을 지속적으로 주는 방법을 참고하였으며, 비자발적이고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으면서 트랜스에 이를 수 있는 방법들을 안무에 적용했다. 조영주는 뉴스에서 보이는 여성 신체들의 특징이 특정한 물리적 자극만으로 퍼포머에게서 보일 수 있게 상정 하였다. 퍼포머가 실제 상황으로 이 과정이 진행되면서 개인적인 감정의 상태가 신체의 상태가 되고, 그것을 카메라가 다시 포착하여 매개하면서 관객에게서 여러 감정을 소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산 신체 재회는 두 개의 다른 공간에서 두 개의 라이브 퍼포먼스가 진행되며, 두 장소는 중계 영상을 통해 다른 장소에서 일어나는 퍼포먼스와 관객의 반응을 영상 이미지로 공유한다. 일부 퍼포머는 퍼포밍 도중에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도 한다. 중계 영상 시스템과 크로마키, 모션 캡쳐 기술을 활용하여, 각 장소에서 보이는 영상에서는 다른 장소의 퍼포머 신체 이미지가 현장의 퍼포머 이미지와 중첩되었다가 분리되기도 한다.



← 관련 이미지 보기

비디오 보기